top of page
![](https://static.wixstatic.com/media/05b268_1fe742324b9d413383be156a1fdb52f9~mv2.jpg/v1/fill/w_800,h_450,al_c,q_80,enc_avif,quality_auto/05b268_1fe742324b9d413383be156a1fdb52f9~mv2.jpg)
![](https://static.wixstatic.com/media/05b268_a1ae5619533e42d5aa8581bc79e14597~mv2.jpg/v1/fill/w_800,h_450,al_c,q_80,enc_avif,quality_auto/05b268_a1ae5619533e42d5aa8581bc79e14597~mv2.jpg)
![](https://static.wixstatic.com/media/05b268_9ef16ba9499e4443bfbcec70cc62c3d7~mv2.jpg/v1/fill/w_980,h_639,al_c,q_85,usm_0.66_1.00_0.01,enc_avif,quality_auto/05b268_9ef16ba9499e4443bfbcec70cc62c3d7~mv2.jpg)
![](https://static.wixstatic.com/media/05b268_1fe742324b9d413383be156a1fdb52f9~mv2.jpg/v1/fill/w_800,h_450,al_c,q_80,enc_avif,quality_auto/05b268_1fe742324b9d413383be156a1fdb52f9~mv2.jpg)
1/3
전체적 데이터 카탈로그 : 행복을 찾아서 2 - 행복의 기원
출력된 3D 돌, 퍼포먼스 영상, 5분, 2018
'자가 감정 추수 장치'를 쓰고 비장소를 배회 하며 얻어낸 감정 데이터 중 행복 데이터는, 자연권에 속하되 가장 무생물적인 존재로 취급되는 가상의 광석으로 옮겨진다. 이 광석은 행복을 기도하는 '기원석'으로 해석되는 동시에, 16세기-20세기에 상품과 서비스, 노예를 교환하는 토큰으로 쓰인 ‘무역 구슬’, 혹은 난립하는 현재의 암호화 화폐를 동시에 연상시키는 가상화폐로 해석된다. 이러한 파생 상품은 행복에 대한 경제학적인 기대 뿐 아니라 신화적이고 개인 구복적인 영역까지를 대리하며 점점 외부화되고 구름화 되어가는 행복의 감각을 드러낸다. 이 돌들을 기원의 장소로 옮겨가 계속 쌓는다. 그 돌들은 계속 무너진다
∞ 전체적 데이터 카탈로그 : 행복을 찾아서, 공간 사일삼, 2018
bottom of page